반응형
시작→실행(R)ㅡ>cmd 입력(cmd는 command[명령]의 약자입니다)
입력하시면 검정색 명령 프롬프트창이 뜹니다.
커서가 깜빡인다는 것은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고 있다는 뜻입니다.
네트워크 연결 확인이 목표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연결 확인 명령어인
netstat 을 입력하고 한 칸 띄운 다음 추가로 /n 또는 -n 을 입력합니다.
입력을 다 하셨으면 엔터를 칩니다.
현재, 컴퓨터에 연결된 네트워크가 아무것도 없다면 다음 명령을 입력하라는
메시지가 다시 뜨게 될 것이고, 연결된 네트워크가 있다면 표시되게 됩니다.
Local Address 밑에 나오는 아이피가 본인의 아이피입니다.
옆에 Foreign Address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IP와 포트입니다.
netstat /n(-n) 같은 경우는 네트워크 연결지만 출력해줍니다.
이번에는 netstat /b(-b) 를 입력해봅시다.
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좌측에 어떤 프로그램과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지 표시됩니다.
저는 지금 chrome 을 켜놓았기 때문에 크롬의 프로세스명이 표시됩니다.
우측에는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주소지가 나오게 되는데
chrome 으로 saycast 의 음악을 듣고 있으니 세이케스트의 주소가 나오네요.
반응형
'IT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포토샵(Adobe Photoshop CS3) 한글 패치 다운로드 (5) | 2012.06.29 |
---|---|
Pastebin 사용해보기 (2) | 2012.06.03 |
본인 컴퓨터 IP 확인하기 (0) | 2012.05.13 |
간단한 좀비PC 감염 자가진단 (2) | 2012.05.13 |
서버공격(서버폭파, 섭폭) 방어 팁 (3) | 2012.05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