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프로그래밍/C

[C언어] Microsoft Visual Studio 6.0 소개

by 알용 2012. 4. 7.
반응형


머리말

Visual Studio 시리즈 제품은 Microsoft 사에서 출시한 제품으로 이를 이용해 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.
내 블로그에서 소개할 C/C++ 은 Visual Studio 6.0(이하 VS) 만으로 충분히 학습이 가능하다.
C언어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기에 앞서 우리가 사용할 툴의 사용법과 인터페이스를 익혀야 한다.



VS 6.0 을 설치할 때 경로를 지정해주지 않았다면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의 경로가

C:\Program Files\Microsoft Visual Studio 

위와 같이 지정 되는데 VC98 폴더에 들어가보면 여러가지 라이브러리 파일들과 헤더파일 등을 볼 수 있다.

VS 6.0 실행파일의 위치는

C:\Program Files\Microsoft Visual Studio\Common\MSDev98\Bin

이 경로에 있고, 시작->모든 프로그램->Microsoft Visual Studio 6.0->Microsoft Visual C++ 6.0 으로도 실행 가능하다.


위 이미지는 VS 6.0 의 아이콘이고 실행시켜보자.

VS 6.0 을 실행시켰을 때 나타나는 가장 기본적인 화면이다.

메뉴 중 File ㅡ> New 를 누르거나 단축키 Ctrl+N 를 눌러 프로젝트 생성창을 띄워보자.

프로젝트 생성창이 나왔다.

일정 구역마다 화살표 표시를 하고 번호를 써놓았는데 아래에 그 설명을 적도록 하겠다.

①: 앞으로 우리가 C언어로 공부하고 개발할 프로그램의 종류를 선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     32비트 환경인 Windows 운영체제에서 콘솔(도스)창을 띄워가며 프로그래밍을 하게 될 것이다.
     (사실 진짜 도스창은 아니다)

②: 우리가 만들 프로젝트의 이름을 지어주는 텍스트박스이다.
     만약, 우리가 VFS 라는 이름의 슈팅게임을 만든다고 하면 Project name에 VFS 라고 적으면 된다.

③: 생성할 프로젝트의 경로를 지정해주는 곳이다.
     따로 지정해주지 않는다면 기본적으로 
     C:\Program Files\Microsoft Visual Studio\My Project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된다.

④: VS 6.0 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.
    

가장 큰 단위로 Workspace(작업공간, 솔루션)이 존재하고
Project 가 존재하는데 이 Project 안에 Code, Resource 등 여러 Source 들이 포함되어 있다.
Create new workspace 라는 라디오버튼은 새로운 작업공간을 생성하겠다는 뜻이다.

⑤: 플랫폼을 선택하는 공간인데 자동적으로 Win32 체크박스에 체크가 되어 있다.
     플랫폼이란 응용 프로그램(소프트웨어)를 구동하는데 관여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이다.
     플랫폼은 컴퓨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고 OS(운영체제)가 플랫폼에 속한다.
     우리는 32비트 환경의 Windows 운영체제에서 개발하기 때문에 Win32 로 체크되어 있다.


나는 프로젝트 이름을 Test로 지정해주고 나서 경로를 바탕화면으로 지정하고 OK 버튼을 눌렀다.


OK 버튼을 누르고 나면 위와 같은 설명을 하게 되는데 어떤 종류의 Console Application 을 생성하고 싶은지 묻는 대화상자다.
C언어의 기본부터 익혀나갈 것이기 때문에 아무것도 없는 텅 빈, An Empty project 를 선택해주고 Finish 를 눌러주면 된다.

Finish 를 누르고 나서 뜨는 창은 생성된 프로젝트의 정보를 알려주는 창이니 그냥 닫아주면 된다.

각 위치에 따른 설명을 적어두었다.
Title Bar: 말 그대로 타이틀이 표시된다, 아까 지정해준 프로젝트명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Menu Bar: 파일,편집, 보기, 삽입, 프로젝트, 빌드, 도구, 윈도우, 도움말 등 각 메뉴에 따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
Tool Box: 도구상자이다.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아이콘들을 등록하고 제거할 수 있다.
Build Minibar: 프로그램 빌드 작업에 필요한 Minibar 이다.
Workspace: 작업공간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의 정보를 볼 수 있다.
Output Window: 컴파일, 빌드 과정을 거친 후에 나타나는 결과창이다.
Status Bar: 현재의 상태 표시를 해준다. 


이제 프로젝트에 추가할 소스 파일을 추가해야 한다.
프로젝트 생성 때와 마찬가지로 File->New 또는 단축키 Ctrl+N 을 눌러보자.

왼쪽 공간은 어떤 소스파일을 생성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영역인데 C++ Source File 을 선택해주면 된다.
오른쪽으로 오면 Add to project 체크박스가 있는데 프로젝트에 이 소스파일을 추가하겠다는 의미이다.
그 아래에는 우리가 지정해준 프로젝트명이 있고 아래는 추가할 소스파일의 이름을 적는 텍스트박스이다.
후에 공부하게 될 모듈화 프로그래밍을 대비해서 파일이름은 main 으로 짓고 확장자는 .c 로 지정한다.
확장자를 .c 로 적어주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.cpp 확장자의 소스파일이 생성되게 되는데
우리가 공부할 프로그래밍 언어는 C++ 이 아닌 C언어이기 때문에 꼭 .c 확장자를 붙여줘야 한다.
아래는 이 소스파일을 추가할 경로 지정을 선택한다.
모든 설정이 끝났으면 OK 를 누르면 된다.


기나긴 설정이 끝나고 이제 C언어 문법에 맞게 프로그램을 작성해주면 되는데
사진 때문에 설명이 너무 길어진 터라 다음 강좌에 이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.


반응형